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저희 부부의 자산과 부채, 매월 수입으로 어떻게 재테크를 해야 할 것인지를 분석해보려고 합니다.
a1
회계를 조금이라도 공부하신 분이라면, 자산, 부채, 자본의 개념을 알고 계실 거예요.
자산 = 자본 + 부채
자산은 타인의 돈인 "부채"와 나의 돈인"자본"으로 구성되어 있죠.
이 개념을 저는 우리 가정의 자산에 대해서 적용해서, 앞으로 대출상환계획과 투자 포트폴리오를 계획해보고자 합니다.
그리고 이것을 크게 부동산 / 금융자산으로 나눠서 계획을 해보려고 합니다.
1. 자산
부동산 : 아파트(8.4억) / 전세보증금(2.1억)
금융자산 : 1,930 만원
- 주식 : 국내/미국 주식(200 만원)
- 비트코인 : 100 만원
- 개인연금 : 개인연금펀드(260 만원) / IRP(1,370 만원)
2. 부채
마이너스통장 : 2억
전세보증금(임차인) : 4.6억
신용대출 : 5200 만원
3. 자본
자산(10.7억) - 부채(2.7) = 자본(3.4억)
현재 우리 가정의 순자산(자본)은 약 3.4억 밖에 되지 않는다.
코로나로 인하여 금리는 매우 낮고, 계속된 화폐 발행으로 자산의 가격은 매우 많이 상승해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나의 상황은 레버리지가 과도하다고 생각이 들기도 한다.
만약 금리인상 등으로 자산의 가격이 낮아진다면, 매우 위험한 상황이 올 수도 있을 것 같다.
(그래도 집값이.. 폭락하진 않겠지라는 생각으로 위안을 삼고 있다.)
그래서 나는 부채를 일부 상환하면서, 금융자산(주식)에 투자를 늘리려고 한다.
무턱대고 부채만을 상환하기에는 그 기회비용이 너무 아깝다는 생각이 든다.
아직은 주식의 상승률이 더 높고, 급격한 금리 상승 또한 제한적일 것이라고 예상이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소한의 리스크 관리는 필요하기에, 마이너스통장에 돈을 조금씩 넣어 유동성(현금)을 만들 생각이다.
이 글을 읽고 있는 여러분들도 지금 한번 자신의 자산현황과 외부 상황을 객관적으로 보고,
앞으로의 포트폴리오를 어떻게 가지고 갈지를 한번 생각해 보면 좋을 거 같다.
앞으로도 더 유용한 글을 올릴 수 있도록 노력해보겠다..ㅎ
a2
'재테크(주식,개인연금,IRP,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아파트 매매 소유권 셀프 이전 등기 후기(#3. 공동명의 셀프등기 서류 발급) (0) | 2021.10.04 |
---|---|
[부동산] 아파트 매매 소유권 셀프 이전 등기 후기(#2. 공동명의 셀프등기 필요 서류) (0) | 2021.10.01 |
[부동산] 아파트 매매 소유권 셀프 이전 등기 후기(#1. 사기전에 알았으면 좋았을 것들..) (0) | 2021.09.30 |
[부동산]2021년 8월 드디어 내집 마련(feat. 부동산 부부공동명의 셀프등기) (0) | 2021.09.26 |
재테크 기록 시작! (1) | 2021.09.26 |
댓글